“안에서 믿고 살 수 있어야 밖에도 판다”
“안에서 믿고 살 수 있어야 밖에도 판다”
  • 한정선 기자 (fk0824@k-health.com)
  • 승인 2023.03.29 18: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높아진 글로벌 규제 벽…K-뷰티 살길은?
중국과 유럽 등 전 세계 여러 나라가 화장품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화장품 안전 및 효능평가를  재정비하고 높아진 수출장벽에 대비해야 할 시점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지난해 12월 미국에서 ‘2022년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을 포함한 ‘2022년 식품의약품 종합개혁법’이 통과되면서 중국에 이어 미국 화장품수출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미 중국은 2020년 ‘화장품 감독관리조례’ 공포를 시작으로 화장품원료안전성자료 제출 등 수입규제를 더욱 강화한 바 있다.

■국내엔 화장품원료안전성 평가기준조차 없어

따라서 국내 화장품기업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시급히 해결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K-뷰티를 이끌어온 화장품산업이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2011년 식약처가 ‘신원료심사’조항을 폐지, 국내의 경우 신원료는 물론 원료안전성 평가기준조차 없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식약처는 중국, 유럽 등 외국의 화장품원료 안전평가방법 등을 분석해 국내업체가 수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밝혔지만 글로벌수준의 화장품안전성평가법 제정, 수준별 화장품안전평가사교육과정 개설 등 관련제도 마련부터 쉬운 일이 아니다.

또 현재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화장품안전성평가자 양성 및 화장품안전성검토시스템 활용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실제성분, 원료, 제품의 안전평가를 위한 실무교육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화여대 약학과 임경민 교수는 “국내 화장품업체 대부분은 화장품안전성평가사를 따로 둘 수 있는 형편이 안 된다”며 “교육수강자도 기초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아 기본교육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어 빨리 수준별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식약처 역시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에서 안전성평가방법, 평가결과작성법 등 안전성평가자 양성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교육대상 및 내용 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보다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이정표 실장은 “올해부터 실습위주교육을 별도로 편성해 상시교육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업단위의 실습교육요청 시 1:1 기업맞춤형 교육도 가능하다”며 “추후 수준별 단계교육을 통해 기본부터 전문가수준의 교육까지 전주기 교육을 통해 국제수준의 안전성평가 전문인력 양성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정부 주도의 ‘화장품성분 안전평가 DB화’ 시급

이와 함께 정부가 주도해 고도화된 ‘화장품성분 안전평가 데이터베이스(DB)화’도 시급하다. 화장품성분의 독성자료를 개별기업에서 확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에서 어느 정도 이 작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보다 실효성 있게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임경민 교수는 “화장품성분의 안전성평가정보를 업계 누구나 검색할 수 있도록 DB화하고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용자 피드백을 받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빈도 공통사용원료에 대한 원료안전성평가플랫폼 구축도 시급하다. 여러 제조사나 브랜드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화장품원료의 경우 이 플랫폼을 활용해 평가결과를 공유하는 시스템이 만들어지면 기업의 중복투자를 방지할 수 있고 인력과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임경민 교수는 “국내 화장품에는 안전성평가가 이뤄지지 않은 천연물원료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선진국이 요구하는 수준에 맞춰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한다면 국내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바우처 시범사업 통해 중소기업 숨통 터줘야

여기에 화장품수출업체를 대상으로 한 바우처 시범사업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즉 원료안전성평가를 위한 정부지원시스템 또는 컨설팅업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인천의 한 화장품업체 대표는 “현재 정부나 협회에서 제공하는 화장품원료의 안전 및 효능에 대한 정보는 실제 생산활동을 하는 기업에 전혀 전달되지 않고 있어 이대로 진행된다면 국내 화장품산업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며 “기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라고 호소했다.

당장 원료안전성평가에 있어 지원이 필요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시적인 바우처사업을 진행해 화장품안전성평가컨설팅 및 연구보고서 작성법 교육 등 실질적인 지원을 시행하고 그 사이 정부는 단계적으로 국내 화장품회사들이 대응할 수 있도록 정확한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의견이다.

세계 최고의 일류브랜드로 일궈낸 K-뷰티. 이를 사장시키지 않으려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국제 화장품규제 강화추세에 발맞춰 정부가 앞장서고 협회, 학계, 기업 등 모두가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