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복해요! 희귀질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다양한 돌연변이로 진단키트만으로 한계 있어
[극복해요! 희귀질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다양한 돌연변이로 진단키트만으로 한계 있어
  • 이원국 기자 (21guk@k-health.com)
  • 승인 2020.11.20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50% 확률로 대물림돼
저밀도지단백수용체 이상으로 콜레스테롤 배출 어려워
에볼로쿠맙, 유전자변이와 건황색종 증빙 있어야 사용 가능

희귀질환자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사회적인 관심이 부족하다 보니 희귀질환자들은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제대로 된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희귀질환자들의 고통분담을 위해 1월 ‘희귀난치성질환자 산정특례제도’를 발표했지만 아직도 실질적인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헬스경향은 희귀질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극복해요! 희귀질환’이라는 기획기사를 마련했습니다. <편집자 주>

FH는 유전자변이로 LDL콜레스테롤 대사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으로 평소 기름진 음식을 먹지 않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해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게 측정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FH는 유전자변이로 LDL콜레스테롤 대사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으로 평소 기름진 음식을 먹지 않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해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게 측정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올해 제 나이는 42살입니다. 아직 한창인 나이입니다. 하지만 어느 날 청천벽력 같은 소리를 들었습니다. 제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FH)’을 앓고 있다는 겁니다. 형님이 48세에 심근경색으로 입원해 간호하다가 우연히 받은 건강검진에서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290mg/dL로 나와 FH를 진단받게 됐습니다. 평소 건강을 위해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주 3회 운동을 하는데 이게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되질 않았습니다. <우연히 질환을 발견했습니다-환자의 사연>

혈액 속에 나쁜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여있는 상태를 ‘고콜레스테롤혈증’이라 한다. 나쁜 콜레스테롤이 혈관 벽에 쌓이게 되면 동맥경화증으로 심근경색, 뇌경색 등 심혈관계질환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콜레스테롤은 좋은 HDL 콜레스테롤과 나쁜 LDL콜레스테롤로 나눠 볼 수 있다. 체내 콜레스테롤의 25%는 음식을 통해 섭취되고 나머지는 간에서 만들어진다. 콜레스테롤은 ‘지단백’이라는 입자를 타고 혈관 속을 돌아다니다 간으로 다시 재흡수된다. 문제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하 FH)환자는 ▲LDL수용체 돌연변이 ▲Apo B-100의 유전적결함 ▲PCSK9 돌연변이와 같은 유전적 이상으로 LDL 콜레스테롤 대사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즉 일반인과 비교해 혈액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2~3배 이상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희귀질환인 FH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방식을 따른다. 즉 부모 중 한 명이 FH로 진단받으면 자식이 FH일 가능성이 50%라는 뜻이다. FH는 ‘이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heFH)’과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hoFH)’ 등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이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부모 중 한 명에게서 변이된 유전자를 받은 경우다. 세계적으로 250~500명 중 1명꼴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부모 모두에게 변이된 유전자를 받았기 때문에 더 심각한 질환이다. 따라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인의 4배까지 상승한다.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인구 100만명당 1명꼴로 아주 드물게 발생하며 인구가 5000만명인 우리나라의 경우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환자는 약 50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정인경 교수는 “LDL콜레스테롤 기준 16세 미만은 155mg/dL, 16세 이상은 190mg/dL을 넘으면 FH를 의심해야한다”며 “총 콜레스레롤 수치로 따질 때는 16세 미만은 260mg/dL, 16세 이상은 290mg/dL이 넘으면 추가 혈액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한다”고 설명했다.

■FH환자, 심혈관질환 위험도 20배 높아

FH는 유전자변이로 LDL콜레스테롤 대사에 이상이 생겨서 혈액의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올라가는 질환이다. 따라서 평소 기름진 음식을 먹지 않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해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게 측정된다.

FH환자 중 절반은 여러 조직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아킬레스건, 무릎 등에서는 ‘건황색종’, 눈의 각막에는 ‘각막환’, 눈꺼풀에는 ‘황색판종’이 발견된다. 하지만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라고 해서 황색종이나 각막환이 무조건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FH는 혈액검사를 통한 조기진단이 필수적이다. FH환자는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일반인과 비교해 2~3배 이상 높기 때문에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20배가량 높다. 특히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매우 어린 나이에 대동맥판상부협착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젊은 나이에 협심증, 심근경색증, 사망 등의 위험이 있다.

정인경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주관하는 국민건강검진에 콜레스테롤 측정이 포함돼 누구든지 정기적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며 “최근 건강검진은 40대 이상 성인에서 20대까지 범위가 확대됐지만 콜레스테롤에 대한 검사주기가 2년에서 4년으로 늘어난 만큼 부모님이나 가족 중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가 있거나 콜레스테롤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사람이 있다면 나이가 어리더라도 꼭 검사를 받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엄격한 급여기준, 치료효율 떨어뜨려

FH의 유전자검사는 크게 ▲LDL수용체 돌연변이 ▲Apo B-100의 유전적결함 ▲PCSK9 돌연변이 세 가지를 확인한다. 국내 등록 환자의 분석 결과 LDL수용체 돌연변이가 가장 흔하고, Apo B-100, PCSK9 순서로 분포해 있다. 문제는 이 세가지를 합쳐도 유전자에서 변이가 확인되는 환자는 30%에 불과하다. 따라서 유전자변이 만을 갖고 FH를 진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FH치료는 지질저하제를 사용해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려야한다.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에 따르면 FH환자는 향후 심근경색, 동맥경화, 뇌졸중 예방을 위해 LDL콜레스테롤을 100mg/dL 미만 또는 기저치의 50% 미만으로 낮추도록 권고되고 있다.

하지만 FH의 경우 대표적인 지질저하제인 스타틴을 사용한다 해도 별다른 차도가 없다. 스타틴은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해 LDL수용체 발현을 증가시켜 혈액의 LDL콜레스테롤 제거를 촉진한다. 하지만 FH환자의 경우 LDL대사에 관련된 유전자이상으로 스타틴을 쓰더라도 LDL콜레스테롤 수치가 떨어지지 않는다. 스타틴과 다른 기전의 지질저하제인 에제티미브 역시 FH환자에게 충분치 않다. 에제티미브는 음식을 통해 섭취된 콜레스테롤이 장에서 흡수되는 것을 막지만 100% 억제되는 것도 아니고 일부 LDL콜레스테롤은 간에서 합성되기 때문이다.

다행히 최근 기존 지질저하제로 LDL콜레스테롤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를 위한 대안으로 에볼로쿠맙이 개발됐다. 에볼로쿠맙은 PCSK9억제제로 간에서 LDL수용체를 분해하는 PCSK9을 억제해 LDL수용체가 오래 버틸 수 있도록 돕는다.

문제는 에볼로쿠맙은 현재 건강보험 급여에 등재됐으나 엄격한 급여기준으로 FH환자의 치료접근성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FH환자가 에볼로쿠맙 보험적용을 받기 위해서는 유전자변이가 증빙되거나 건황색종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FH환자의 경우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와 새로운 유전자이상이 있는 환자가 있어 현실적으로 급여기준을 충족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는 유전자검사 음성으로 나온 경우라도 환자의 LDL콜레스테롤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 FH로 진단하는 해외 진료지침과 대비되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